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홍유석)은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차세대 나노광학소자인 메타표면을 도입해 3차원 이미지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18일(월) 밝혔다.
빛의 주요 성질 중 하나인 편광의 두 직교성분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 원리에 착안,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이미지 품질 저하의 주된 원인이었던 스페클 잡음을 완화하고 이미지 품질을 향상시킨 것이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가간섭성 광원인 레이저와 수치해석된 디지털 홀로그램을 재생하는 공간광변조기를 통해 빛의 회절과 간섭 현상을 활용해 3차원 물체를 재현한다. 최근 발전된 홀로그램 최적화 알고리즘을 통해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이미지 품질이 눈에 띄게 향상됐지만, 공간광변조기에서 제공되는 위상조절의 제한된 자유도로 점차 그 성능 향상이 한계점에 다다르고 있다. 광학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빛 조절 자유도의 물리적 한계에 봉착한 것이다.
이에 연구팀은 차세대 나노광학소자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표면’을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도입, 광학 시스템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기존 홀로그램 최적화 알고리즘을 적용해 성능 향상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메타표면은 나노구조체들이 빛의 파장보다 짧은 수백 ㎚(나노미터) 주기로 2차원적으로 배열돼 픽셀별로 빛의 성질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광학소자다. 메타표면의 대표적인 기능성 중 하나로는 편광 멀티플렉싱이 있는데, 이를 통해 빛의 두 직교편광별로 독립적인 위상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도입하면 공간광변조기에서 재생된 홀로그램이 메타표면을 통과 시 두 개의 각기 다른 홀로그램으로 분기될 수 있는 것이다. 빛의 두 직교편광은 서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두 홀로그램 이미지가 합쳐질 때 간섭에 의한 스페클 잡음 없이 합쳐질 수 있어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의 성능이 대폭 향상되는 원리다.
연구팀은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 나노광학소자를 도입해 고도의 성능 향상을 끌어낼 수 있음을 보인 연구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속한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은 2022년 11월 작고한 고(故) 이병호 교수의 뒤를 이어 현재는 정윤찬 교수가 지도하고 있으며, 3차원 디스플레이, 홀로그래피 및 메타표면 관련 연구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및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의 디지털콘텐츠원천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은 이번 연구 결과는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학술지에 2023년 12월 5일 게재됐으며, 12월 12~15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SIGGRAPH ASIA 2023에서 발표했다.
해당 논문
S. -W. Nam†, Y. Kim†, D. Kim, and Y. Jeong, “Depolarized Holography with Polarization-multiplexing Metasurface,” ACM Transactions on Graphics (SIGGRAPH Asia 2023), vol. 42, no. 6, article 202, 2023.
언론연락처: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전기정보공학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남승우 연구원 02-880-9570 전기정보공학부 정윤찬 교수 02-880-1623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